[캘리그래피]<2023 한글축제 K-POP>김현성의 시노래 10.4-10.10_ B관,1관

<2023 한글축제 K-POP>

김현성의 시노래


——————


✔ 2023. 10. 4 (수) ~ 10. 10 (화)

✔ AM 11:00 ~ PM 19:00

✔인사1010 갤러리 B관,1관 (지하층/1층)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 10길 10

✔무료전시

✔갤러리 문의 : 010 3393 8780


-전시 소개 글-


-전시 소개 글-


K-POP으로 표현하는 예술축제

 

577돌 한글날을 맞이하여 ‘신조형예술가동인’에서 <2023 한글축제 K-POP>로 예술축제를 인사동 갤러리 인사1010에서 열게 되었습니다.

 2012년 10월 제1회 캘리콘서트 <김광석 다시 쓰기>를 시작으로 2023년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공감하고 좋아하는 노래의 노랫말과 시 등을 캘리그라피 작품으로 

표현해 온 캘리콘서트는 ‘공감’이라는 키워드로 11회의 전시를 해왔고 12회 캘리콘서트를 개최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열한 번의 캘리콘서트가 거듭되는 동안 캘리그라피는 변화되고 발전했습니다. 초창기의 캘리그라피는 예술의 범주 안에서도 ‘문자예술’이라는 장르의 특성을 강하게 갖고 있었으나 오늘날의 캘리그라피는 다양한 분야와의 접목과 다양한 매체와의 실험적 표현으로 확장된 개념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중에서도 캘리콘서트의 작품 경향과 수준은 그 어떤 단체나 작가의 작품보다 더 진취적으로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왔습니다. 

 

앞으로 나아갈 예술 방향과 추구하는 바를 보다 확장된 개념으로써 우리의 정체성을 명확히 할 명칭과 단체가 필요했습니다. 그리고 2023년 캘리콘서트의 주최·주관처로서 ‘신조형예술가동인’이라는 단체를 창립하고 새로운 출발을 다졌습니다. ‘신조형예술가동인’은 문자를 매개로 하되 ‘문자를 넘어 확장된 예술로 나아간다’라는 창립정신을 선포했습니다.

 

‘신조형예술가동인’은 첫 전시로 <2023 한글축제 K-POP>으로 시작합니다. 우리의 정서를 우리의 문자로 표현한 시와 노랫말을 577돌 한글날에 맞춰 예술축제로 열게 되었습니다. ‘공감’이라는 키워드로 캘리콘서트가 함께 해 온 우리 가요는 전 세계가 주목하고 열광하는 K-POP으로 영향력을 갖추었고, 한국인이 공감하는 대중가요에서 전 세계가 공감하는 K-POP으로 성장하고 발전했습니다. 이와 같은 시대적 흐름에 맞춰 12회 캘리콘서트는 지역·국가의 경계를 넘어선 K-POP을 주제로 전시를 기획했으며 한글의 우수성을 음악과 미술로 융합한 예술표현으로 한글날의 새로운 예술축제가 될 것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2023 한글축제 K-POP>은 ‘이등병의 편지’를 작사, 작곡한 김현성님을 주제 가수로 선정하고, 싱어송라이터 김현성님과 문화예술기획 강욱천 대표님과 함께 전시와 행사를 기획하고 준비했습니다. 이번 전시에는 51명의 작가가 참여했고 150여 작품이 전시됩니다. 김현성님의 대표곡인 ‘이등병의 편지’와 ‘가을 우체국 앞에서’를 비롯해 김현성님의 아름다운 시와 노랫말 100여 편을 ‘신조형예술가동인’ 작가들이 다양한 해석과 감성으로 표현된 작품들을 선보입니다. 또한 김현성님의 음악활동 자료와 작품을 활용한 굿즈 등도 함께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2023년 577돌 한글날은 문학과 음악 그리고 미술로 이어진 새로운 예술축제를 <신조형예술가동인>과 함께 향유하시기 바랍니다. 

 

2023.10.4.

신조형예술가동인 참여작가 드림






K-POP으로 표현하는 예술축제

 

577돌 한글날을 맞이하여 ‘신조형예술가동인’에서 <2023 한글축제 K-POP>로 예술축제를 인사동 갤러리 인사1010에서 열게 되었습니다.

 

2012년 10월 제1회 캘리콘서트 <김광석 다시 쓰기>를 시작으로 2023년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공감하고 좋아하는 노래의 노랫말과 시 등을 캘리그라피 작품으로 표현해 온 캘리콘서트는 ‘공감’이라는 키워드로 11회의 전시를 해왔고 12회 캘리콘서트를 개최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열한 번의 캘리콘서트가 거듭되는 동안 캘리그라피는 변화되고 발전했습니다. 초창기의 캘리그라피는 예술의 범주 안에서도 ‘문자예술’이라는 장르의 특성을 강하게 갖고 있었으나 오늘날의 캘리그라피는 다양한 분야와의 접목과 다양한 매체와의 실험적 표현으로 확장된 개념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중에서도 캘리콘서트의 작품 경향과 수준은 그 어떤 단체나 작가의 작품보다 더 진취적으로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왔습니다. 

 

앞으로 나아갈 예술 방향과 추구하는 바를 보다 확장된 개념으로써 우리의 정체성을 명확히 할 명칭과 단체가 필요했습니다. 그리고 2023년 캘리콘서트의 주최·주관처로서 ‘신조형예술가동인’이라는 단체를 창립하고 새로운 출발을 다졌습니다. ‘신조형예술가동인’은 문자를 매개로 하되 ‘문자를 넘어 확장된 예술로 나아간다’라는 창립정신을 선포했습니다.

 

‘신조형예술가동인’은 첫 전시로 <2023 한글축제 K-POP>으로 시작합니다. 우리의 정서를 우리의 문자로 표현한 시와 노랫말을 577돌 한글날에 맞춰 예술축제로 열게 되었습니다. ‘공감’이라는 키워드로 캘리콘서트가 함께 해 온 우리 가요는 전 세계가 주목하고 열광하는 K-POP으로 영향력을 갖추었고, 한국인이 공감하는 대중가요에서 전 세계가 공감하는 K-POP으로 성장하고 발전했습니다. 이와 같은 시대적 흐름에 맞춰 12회 캘리콘서트는 지역·국가의 경계를 넘어선 K-POP을 주제로 전시를 기획했으며 한글의 우수성을 음악과 미술로 융합한 예술표현으로 한글날의 새로운 예술축제가 될 것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2023 한글축제 K-POP>은 ‘이등병의 편지’를 작사, 작곡한 김현성님을 주제 가수로 선정하고, 싱어송라이터 김현성님과 문화예술기획 강욱천 대표님과 함께 전시와 행사를 기획하고 준비했습니다. 이번 전시에는 51명의 작가가 참여했고 150여 작품이 전시됩니다. 김현성님의 대표곡인 ‘이등병의 편지’와 ‘가을 우체국 앞에서’를 비롯해 김현성님의 아름다운 시와 노랫말 100여 편을 ‘신조형예술가동인’ 작가들이 다양한 해석과 감성으로 표현된 작품들을 선보입니다. 또한 김현성님의 음악활동 자료와 작품을 활용한 굿즈 등도 함께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2023년 577돌 한글날은 문학과 음악 그리고 미술로 이어진 새로운 예술축제를 <신조형예술가동인>과 함께 향유하시기 바랍니다. 

 

2023.10.4.

신조형예술가동인 참여작가 드림


-전시 소개 글-






K-POP으로 표현하는 예술축제

 

577돌 한글날을 맞이하여 ‘신조형예술가동인’에서 <2023 한글축제 K-POP>로 예술축제를 인사동 갤러리 인사1010에서 열게 되었습니다.

 

2012년 10월 제1회 캘리콘서트 <김광석 다시 쓰기>를 시작으로 2023년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공감하고 좋아하는 노래의 노랫말과 시 등을 캘리그라피 작품으로 표현해 온 캘리콘서트는 ‘공감’이라는 키워드로 11회의 전시를 해왔고 12회 캘리콘서트를 개최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열한 번의 캘리콘서트가 거듭되는 동안 캘리그라피는 변화되고 발전했습니다. 초창기의 캘리그라피는 예술의 범주 안에서도 ‘문자예술’이라는 장르의 특성을 강하게 갖고 있었으나 오늘날의 캘리그라피는 다양한 분야와의 접목과 다양한 매체와의 실험적 표현으로 확장된 개념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중에서도 캘리콘서트의 작품 경향과 수준은 그 어떤 단체나 작가의 작품보다 더 진취적으로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왔습니다. 

 

앞으로 나아갈 예술 방향과 추구하는 바를 보다 확장된 개념으로써 우리의 정체성을 명확히 할 명칭과 단체가 필요했습니다. 그리고 2023년 캘리콘서트의 주최·주관처로서 ‘신조형예술가동인’이라는 단체를 창립하고 새로운 출발을 다졌습니다. ‘신조형예술가동인’은 문자를 매개로 하되 ‘문자를 넘어 확장된 예술로 나아간다’라는 창립정신을 선포했습니다.

 

‘신조형예술가동인’은 첫 전시로 <2023 한글축제 K-POP>으로 시작합니다. 우리의 정서를 우리의 문자로 표현한 시와 노랫말을 577돌 한글날에 맞춰 예술축제로 열게 되었습니다. ‘공감’이라는 키워드로 캘리콘서트가 함께 해 온 우리 가요는 전 세계가 주목하고 열광하는 K-POP으로 영향력을 갖추었고, 한국인이 공감하는 대중가요에서 전 세계가 공감하는 K-POP으로 성장하고 발전했습니다. 이와 같은 시대적 흐름에 맞춰 12회 캘리콘서트는 지역·국가의 경계를 넘어선 K-POP을 주제로 전시를 기획했으며 한글의 우수성을 음악과 미술로 융합한 예술표현으로 한글날의 새로운 예술축제가 될 것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2023 한글축제 K-POP>은 ‘이등병의 편지’를 작사, 작곡한 김현성님을 주제 가수로 선정하고, 싱어송라이터 김현성님과 문화예술기획 강욱천 대표님과 함께 전시와 행사를 기획하고 준비했습니다. 이번 전시에는 51명의 작가가 참여했고 150여 작품이 전시됩니다. 김현성님의 대표곡인 ‘이등병의 편지’와 ‘가을 우체국 앞에서’를 비롯해 김현성님의 아름다운 시와 노랫말 100여 편을 ‘신조형예술가동인’ 작가들이 다양한 해석과 감성으로 표현된 작품들을 선보입니다. 또한 김현성님의 음악활동 자료와 작품을 활용한 굿즈 등도 함께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2023년 577돌 한글날은 문학과 음악 그리고 미술로 이어진 새로운 예술축제를 <신조형예술가동인>과 함께 향유하시기 바랍니다. 

 

2023.10.4.

신조형예술가동인 참여작가 드림